반응형
오늘은 자궁에 생기는 근종에 대해 설명하고자 한다.
자궁 근종(uterine fibroids)은 자궁에 생기는 양성 종양으로, 발생 위치에 따라 여러 종류로 나뉜다.
대표적인 자궁 근종의 종류는 다음과 같다.
1. 장막하 근종(Subserosal Fibroids)
- 자궁 바깥쪽(장막)에 생기는 근종
- 크기가 커지면 주변 장기를 압박할 수 있음
- 증상이 없거나 경미한 경우가 많음
2. 점막하 근종(Submucosal Fibroids)
- 자궁 내막(점막) 아래에 위치한 근종
- 월경 과다, 생리통, 불임 등의 증상을 유발할 가능성이 큼
- 작은 크기라도 출혈을 유발할 수 있음
3. 근층내 근종(Intramural Fibroids)
- 자궁 근육층 내부에 생기는 근종
- 가장 흔한 유형
- 근종 크기에 따라 월경량 증가, 생리통, 압박 증상 등이 나타날 수 있음
4. 광범위 인대 근종(Intraligamentous Fibroids)
- 자궁을 지지하는 인대 사이에 위치한 근종
- 주변 장기(방광, 요관 등)를 압박할 가능성이 있음
5. 경부 근종(Cervical Fibroids)
- 자궁경부(자궁 입구)에 발생하는 근종
- 드문 유형이지만, 크기가 커지면 배뇨 장애나 성생활에 영향을 줄 수 있음
6. 근종 부위에 따른 증상과 특징
점막하 근종 (Submucosal Fibroid) | 자궁 내막(자궁 안쪽) | - 월경 과다(과다출혈), 생리불순 - 빈혈, 생리통 - 불임, 습관성 유산 |
근층내 근종 (Intramural Fibroid) | 자궁 근육층 내부 | - 월경량 증가, 생리통 - 자궁 크기 증가(배가 불러 보일 수 있음) - 방광·장 압박으로 배뇨·배변 장애 |
장막하 근종 (Subserosal Fibroid) | 자궁 바깥쪽 (장막) | - 대부분 무증상이거나 경미한 증상 - 크기가 크면 골반 통증, 요통, 방광 압박(빈뇨, 배뇨 곤란) |
경부 근종 (Cervical Fibroid) | 자궁 경부(입구) | - 배뇨 곤란, 배변 장애 - 성교통, 질 출혈 |
광범위 인대 근종 (Intraligamentous Fibroid) | 자궁을 지지하는 인대 사이 | - 주변 장기(방광, 요관) 압박 - 골반 통증 |
7. 근종 위치별 수술 방법
점막하 근종 | 자궁경 절제술(Hysteroscopic Myomectomy) | - 자궁경(내시경)을 이용한 비수술적 방법 - 질을 통해 자궁 내부로 접근하여 근종 제거 - 회복이 빠르고 흉터 없음 |
근층내 근종 | 복강경 근종 절제술(Laparoscopic Myomectomy) 개복 근종 절제술(Abdominal Myomectomy) |
- 크기와 개수에 따라 복강경 또는 개복 수술 선택 - 복강경: 작은 절개 후 카메라로 근종 제거(회복 빠름) - 개복: 크거나 다발성 근종일 때 시행 |
장막하 근종 | 복강경 근종 절제술 또는 개복 수술 | - 크기가 작으면 복강경 수술 가능 - 크기가 크면 개복 수술 고려 |
경부 근종 | 개복 근종 절제술 | - 접근이 어려워 개복 수술 필요할 수 있음 |
광범위 인대 근종 | 개복 근종 절제술 | - 주변 장기 손상을 피하기 위해 개복 수술 필요 |
⭐. 기타 치료 옵션
- 자궁 동맥 색전술(UAE): 자궁 동맥을 막아 근종에 혈액 공급 차단 → 근종 크기 감소
- 고강도 초음파 치료(HIFU, MRgFUS): 열을 이용해 근종을 태워 제거(비수술적)
- 자궁 절제술(Hysterectomy): 재발 가능성이 높은 경우, 자궁 전체 제거 고려
📌 수술 선택은 근종 크기, 위치, 증상, 환자의 임신 계획 등을 고려하여 결정된다.
특히 임신을 원하는 경우 근종 절제술을 선호하며, 재발 가능성이 높은 경우 근본적 치료로 자궁 절제술을 선택할 수도 있다.
반응형
'관계자외 출입금지 > OG' 카테고리의 다른 글
[산부인과] 흉터 없는 로봇 수술이 가능하다고 ? vNOTES (0) | 2025.06.11 |
---|---|
[GY 의학용어] 산부인과 의학용어 (0) | 2025.01.31 |
[GY 산부인과] 원추절제술 Conization 적응증, 검사 그리고 임신 (0) | 2025.01.28 |
[GY 산부인과] 산부인과 검사 pap smear, HPV, 확대경검사 구분하기 (0) | 2025.01.26 |
[GY 산부인과] LAVH vs TLH 차이, 적응증 (0) | 2025.01.26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