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관계자외 출입금지/OG

[GY 산부인과] 산부인과 검사 pap smear, HPV, 확대경검사 구분하기

by ORNURSE 2025. 1. 26.
반응형

1. Pap Smear란?

**Pap Smear(자궁경부 세포검사)**는 자궁경부암의 조기 발견 및 예방을 위해 자궁경부 세포를 채취해 검사하는 방법이다.

자궁경부 표면의 비정상적인 세포 변화를 감지할 수 있어, 자궁경부암이나 암 전단계 병변을 발견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한다. 

 

 

검사 과정

    1. 검사 준비:
      • 질경(speculum)을 이용해 질 벽을 벌려 자궁경부를 노출.
      • 생리 중이 아니어야 하며, 검사 전 24~48시간 동안 성관계나 질 내 약물 사용은 피함.
    2. 세포 채취:
      • 작은 브러시(또는 스패튤라)를 사용해 자궁경부와 경관 입구에서 세포를 부드럽게 긁어 채취.
    3. 세포 검사:
      • 채취한 세포를 유리 슬라이드나 액상 세포검사 용액에 담아 실험실로 보냄.
      • 현미경으로 세포를 분석하여 이상 여부를 확인.
  • 결과 해석:
    • 정상 (Negative for intraepithelial lesion or malignancy, NILM)
    • 비정형 세포 발견 (ASC-US, ASC-H)
    • 저등급 병변 (LSIL)
    • 고등급 병변 (HSIL)
    • 암세포 존재

2. HPV 검사

검사 개요

HPV 검사는 고위험군 인유두종바이러스(특히 16형, 18형 등)가 자궁경부에 감염되었는지 확인하는 검사이다.

  • 목적: 자궁경부암 및 이형성증의 주요 원인인 고위험군 HPV 감염 여부를 진단.
  • 대상: Pap Smear 검사에서 이상이 발견되었거나, 고위험군에 속하는 여성.

검사 과정

  • Pap Smear와 비슷하게 자궁경부에서 세포를 채취하여 HPV DNA를 검사.
  • 결과는 HPV 감염 여부와 감염된 아형(고위험군/저위험군)을 확인.

HPV 고위험군 숫자

HPV(인유두종바이러스)는 200여 가지의 아형으로 나뉩니다. 이 중 고위험군은 자궁경부암을 유발할 가능성이 높다고 알려져 있다.

  • 주요 고위험군 아형:
    • HPV 16, HPV 18: 자궁경부암의 약 70%를 유발하는 주요 유형.
    • HPV 31, 33, 45, 52, 58: 자궁경부암 및 기타 생식기암과 관련 있음.

고위험 HPV 감염 여부를 확인하는 것이 병변 관리와 예방에 매우 중요하다.

 

3. 추가 검사: 확대경 검사(Colposcopy)

Pap Smear나 HPV 검사에서 이상이 발견되면 **확대경 검사(Colposcopy)**를 시행한다.

  • 자궁경부를 확대해 자세히 관찰하며, 이상 부위가 의심되면 조직검사를 함께 진행.
  • 대상: HSIL 이상의 병변이 확인된 경우 또는 반복적으로 ASC-US/LSIL이 발견된 경우.

검사 과정

  1. 자궁경부 준비:
    • 질경을 삽입해 자궁경부를 노출.
    • 아세트산 용액을 바르면 비정상 세포가 하얗게 변함.
  2. 확대 검사:
    • 특수한 확대경을 통해 자궁경부를 확대해 관찰.
  3. 조직검사:
    • 이상 부위가 발견되면 해당 부위의 조직을 채취해 병리학적 분석 진행.

결과 해석

  • CIN 1: 경미한 변화로, 관찰만 할 수도 있음.
  • CIN 2~3: 치료(냉동치료, 레이저 시술 등)가 필요.

 

4. 자궁경부 조직검사(Biopsy)

검사 개요

조직검사는 자궁경부의 비정상 세포를 직접 떼어내어 병리학적 분석을 하는 방법입니다. Pap Smear나 Colposcopy 결과에 따라 시행합니다.

검사 과정

  • 국소 마취 후, 비정상 부위를 작은 기구로 떼어냄.
  • 결과를 통해 CIN 단계 및 암으로의 진행 여부를 정확히 진단.

. 자궁경부이형성증(Cervical Intraepithelial Neoplasia, CIN)의 단계

자궁경부이형성증(CIN)은 자궁경부 세포의 비정상적인 변화를 의미하며,

세포의 비정상 정도에 따라 3단계로 분류힌다.

이는 자궁경부암으로 진행될 가능성을 평가하는 데 중요한 기준이다.

 

1. CIN 1 (경도 이형성증, Low-Grade CIN)

정의:

  • 경미한 세포 변화가 나타나는 단계
  • 비정상 세포가 자궁경부 상피의 1/3(하부)에만 국한된다.

원인:

대부분 저위험군 HPV 또는 일시적인 고위험군 HPV 감염으로 발생한다.

특징:

  • 자궁경부암으로 진행될 가능성이 낮다.
  • 대다수의 경우, 6개월에서 2년 이내에 자연적으로 회복됩니다.

관리:

  • 정기적인 추적 관찰(Pap 검사, HPV 검사) 권장.
  • 특별한 치료 없이 경과를 지켜보는 경우가 많다.

2. CIN 2 (중등도 이형성증, Moderate-Grade CIN)

정의:

  • 중등도 비정상 세포 변화가 나타나며, 자궁경부 상피의 1/3에서 2/3에 걸쳐 비정상 세포가 분포한다.

원인:

  • 고위험군 HPV 감염이 주된 원인.

특징:

  • 자궁경부암으로 진행될 가능성이 증가하며, 약 5~10%는 치료 없이 암으로 진행될 수 있다.
  • 자연 회복 가능성도 있지만, 위험성이 높아 관리가 필요하다.

관리:

  • 필요 시 생검 또는 치료적 시술(예: 원추절제술) 시행.
  • 정기적인 HPV 검사와 조직학적 검사를 통해 상태를 모니터링.

 

3. CIN 3 (중증 이형성증, Severe-Grade CIN)

정의:

  • 중증 비정상 세포 변화로, 자궁경부 상피의 2/3 이상에 비정상 세포가 나타난다.
  • **상피 내암(Carcinoma In Situ)**와 유사한 단계로 간주된다.

원인:

  • 지속적인 고위험군 HPV 감염이 주요 요인.

특징:

  • 치료하지 않으면 자궁경부암으로 진행될 위험이 매우 높다.
  • 자연 회복 가능성은 극히 낮은편이다.

관리:

  • 즉각적인 치료가 필요하며, 원추절제술이나 냉동치료 등 적절한 시술로 비정상 조직을 제거한다.
  • 치료 후에도 재발 가능성이 있으므로 정기적인 관찰이 필요하다.

 

⭐. CIN의 병변 진행 경로

  1. 정상 세포
    → HPV 감염
  2. CIN 1
    → 일부는 자연 회복, 일부는 CIN 2로 진행
  3. CIN 2
    → 일부는 자연 회복, 일부는 CIN 3로 진행
  4. CIN 3
    → 치료하지 않으면 자궁경부암으로 진행 (약 30% 이상의 확률)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