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관계자외 출입금지/NS

신경외과 EVD cath / EDD cath

by ORNURSE 2024. 6. 16.
반응형

EVD 란?

External Ventricular Drainage 뇌실 외 배액술이라고도 하며
수술실에서 두개골에 burr hole 이라는 작은 구멍을 내어 
얇은 플라스틱 관을 통해 두개내의 압력을 낮아지게 하거나 모니터링을 돕게 하는 카테터 이다.

 

정의: 뇌실 내에 카테터를 삽입하여 뇌척수액(CSF)을 외부로 배출하는 데 사용되는 특정 배액 장치

적용 부위: **뇌실(ventricle)**에 국한되어 사용됨.

주요 목적
• 뇌수종, 외상성 뇌 손상, 뇌출혈 등으로 인해 증가한 두개내압(ICP) 조절
• 뇌척수액 샘플 채취 및 감염 여부 확인

구조: 일반적으로 ICP 모니터링을 위한 트랜스듀서와 연결되어 두개내압을 실시간으로 측정할 수 있다.

대표적 사용 사례: 외상, 수술 후 두개내압 관리.

적응증

두개 내압을 완화하기 위함
감염된 CSF를 제거하기 위해
두개내압 모니터링
CSF흐름의 전환
등이 있다.
 

정상의 CSF 특징

맑고 색깔이 없으며 압력은 15mmHg이다.
 

CSF가 너무 많이 배액되었을 경우의 증상으로는

두통
창백
빈맥
Irritabil한 모습을 관찰할 수 있음.
 

EDD catheter란

External Drainage catheter 

1. 뇌척수액 배액

• 뇌수종(Hydrocephalus), 외상성 뇌 손상(Traumatic Brain Injury), 또는 뇌출혈(Intracerebral Hemorrhage)로 인한 두개내압 상승 시 과도한 뇌척수액을 배액.
• 배액량과 속도를 조절하여 두개내압을 조정.

2. 두개내압(ICP) 모니터링

• 뇌압을 실시간으로 모니터링해 환자 상태를 관리.
• 중환자실 및 신경외과 수술 후 주로 사용.

3. 감염 및 합병증 관리

• 감염 위험이 있는 경우 뇌척수액 샘플링에 사용.
• 감염 관리 및 필요시 배액 장치 교체.

EDD Catheter의 주요 구조


1. 카테터(Catheter)
• 주로 실리콘 재질로, 부드럽고 유연하게 설계.
• 뇌실 또는 목표 부위에 삽입되어 체액 배출.

2. 드레인 튜브(Drainage Tubing)
• 배액이 외부 수집 장치로 연결되도록 함.
• 배액량을 시각적으로 확인 가능.

3. 수집백(Collection Bag)
• 배출된 체액을 수집하는 곳. 감염 위험을 줄이기 위해 멸균 상태 유지.

4. 트랜스듀서(Transducer)
• 두개내압 측정 시 연결되는 모니터링 장치.

EDD Catheter 사용 시 주의점

1. 감염 예방
• 장치 삽입 부위를 철저히 소독.
• 감염 징후(발열, 뇌척수액 혼탁 등) 관찰 필수.

2. 배액량 조절
• 배액량이 너무 많거나 빠르면 뇌압이 급격히 변화할 수 있음.
• 적정 높이에서 배액 조절 필요.

3. 지속적인 모니터링
• 환자 상태, ICP 값, 배액 상태를 실시간으로 모니터링.
• 배액 시스템의 막힘이나 오작동 점검.

4. 정기적인 카테터 교체
• 장기간 사용 시 감염 및 합병증 위험 증가.
• 일반적으로 7~14일마다 교체 권장.





반응형

댓글